맨위로가기

비셰그라드 (헝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셰그라드는 헝가리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뉴브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1009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 1242년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325년 헝가리 국왕 카로이 1세는 이곳을 왕실 거처로 선포했고, 1335년에는 보헤미아, 폴란드와 함께 비셰그라드 회의를 개최하여 동맹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왕궁이 부더로 옮겨지고,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면서 중요성이 감소했다. 1991년에는 비셰그라드에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의 정치 지도자들이 회의를 열어 비셰그라드 그룹을 결성했고, 2000년 시로 승격되었다. 주요 유적으로는 비셰그라드 성, 하부 성채, 왕궁, 시브리크 언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옛 수도 - 데브레첸
    데브레첸은 헝가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한때 헝가리 혁명 당시 수도였으며, 칼뱅주의 중심지로서 "칼뱅주의 로마"라고 불렸고, 현재는 헝가리 동부의 경제, 문화, 교육 중심지이다.
  • 헝가리의 옛 수도 - 세케슈페헤르바르
    세케슈페헤르바르는 헝가리 중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로, 중세 헝가리 왕국의 왕궁이 있었으며 많은 국왕의 대관식이 거행된 곳이자 교통 요충지로서 경제적으로 활발한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 - 죄르
    죄르는 헝가리 서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켈트족,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발전해 1743년 제국자유도시 지정, 19세기 중반 도나우 강 증기선 운항으로 무역 도시로 번성, 현재는 아우디 공장이 위치한 산업 도시이자 역사적 건물과 문화를 간직한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헝가리 서부 지역의 물류 중심지이자 경제 활동의 중추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 - 에르드
    에르드는 헝가리 중부 다뉴브 강 인근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시대 인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고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72년 이후 급성장하여 2006년 주 권한을 가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성 미카엘 교회, 에르드 미나레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지방 자치 정부 도시이다.
비셰그라드 (헝가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다뉴브 벤드의 도시
다뉴브 벤드의 도시
왕궁 유적
왕궁 유적
성채의 문
성채의 문
공식 명칭Visegrád (비셰그라드)
다른 이름Plintenburg (플린텐부르크, 독일어), Pone Navata (포네 나바타, 라틴어), Altum Castrum (알툼 카스트룸, 라틴어), Vyšehrad (비셰흐라트, 슬로바키아어)
로마자 표기Visegrád
행정 구역
국가헝가리
지역중앙헝가리
페스트 주
센텐드레 구
지리
해발 고도100m
면적33.27km²
인구
총 인구 (2018년)1,84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역사
설립1009년
기타 정보
우편 번호2025
지역 번호26
시간대CET (+1)
여름 시간대CEST (+2)

2. 역사

1991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의 정치 지도자들은 1335년 이곳에서 열렸던 회의를 상기하며, 이들 국가 간의 지역 협력체인 비셰그라드 그룹을 결성했다. 2000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2. 1. 초기 역사

1009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 1242년 몽골 제국의 유럽 침공 때 남쪽으로 약간 옮겨져 재건되었다. 1325년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는 자신이 거주하던 이곳을 왕실의 거처로 선포하였다.

1335년 카로이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 ,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함께 2개월에 걸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헝가리, 보헤미아, 폴란드 세 왕국 간의 평화를 이끌고, 헝가리와 폴란드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338년 또 다른 회의가 개최되었다.

1405년부터 1408년 사이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겸 헝가리의 국왕이었던 지기스문트가 왕실의 거처를 부더로 옮겼다. 마차시 1세 시대에는 한때 왕궁 소재지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1526년 모하치 전투를 계기로 헝가리 왕국이 분할되면서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2. 2. 앙주 왕가와 비셰그라드 회의

1325년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는 자신이 거주하던 비셰그라드를 왕실의 거처로 선포하였다.

1335년 카로이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 ,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함께 비셰그라드에서 2개월에 걸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헝가리, 보헤미아, 폴란드 세 왕국 간의 평화를 이끌었고, 헝가리와 폴란드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338년 또 다른 회의가 개최되었다.

2. 3. 지기스문트와 마차시 1세 시대

1405년부터 1408년 사이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겸 헝가리의 국왕이었던 지기스문트가 왕실의 거처를 부더로 옮겼다.[3] 마차시 1세 시대에는 한때 왕궁 소재지로 여겨지기도 했지만,[3] 1526년 모하치 전투를 계기로 헝가리 왕국이 분할되면서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3]

2. 4. 오스만 제국 시대와 쇠퇴

1526년 모하치 전투를 계기로 헝가리 왕국이 분할되면서 비셰그라드는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1529년 슐레이만 1세 휘하의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고,[1] 1532년 자폴야 국왕이 비셰그라드를 포위하여 점령했다.[1] 1540년 자폴야가 사망한 후, 합스부르크 장군 레온하르트 펠스가 바츠, 페슈트, 타타, 세케슈페헤르바르와 함께 이 도시를 점령했다.[1] 이 도시가 부더에스테르곰 사이의 연락선을 위협했기 때문에, 부더의 야히야파샤오을루 메흐메트 파샤가 1544년 (아마도 5월 10일 이전 4월 23일)에 이 도시를 점령했다.[1]

2. 5. 현대

1009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1242년 몽골 제국의 유럽 침공 때 남쪽으로 약간 옮겨진 채로 재건되었다. 1325년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는 자신의 거주지였던 이 곳을 왕실의 거처로 선포하였다.

1335년 헝가리의 국왕 카로이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 ,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에시 3세와 함께 2개월에 걸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헝가리와 보헤미아, 폴란드 세 왕국 간의 평화를 이끄는 한편 헝가리와 폴란드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기 위해 동맹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338년 또 다른 회의가 개최되었다.

1405년부터 1408년 사이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겸 헝가리의 국왕이었던 지기스문트가 왕실의 거처를 부더로 옮겼다. 마차시 1세 시대에는 한때 왕궁 소재지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1526년 모하치 전투를 계기로 헝가리 왕국이 분할되면서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1529년 오스만 제국의 슐레이만 1세에게 함락되었다. 1532년 자폴야 국왕이 비셰그라드를 포위하여 점령했다. 1540년 자폴야가 사망한 후, 합스부르크 장군 레온하르트 펠스가 바츠, 페슈트, 터터, 세케슈페헤르바르와 함께 이 도시를 점령했다. 이 도시가 부더에스테르곰 사이의 연락선을 위협했기 때문에, 부다의 야히야파샤오을루 메흐메트 파샤가 1544년에 이 도시를 점령했다.

1991년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의 정치 지도자들은 1335년 이 곳에서 열렸던 회의를 상기시키는 한편 이들 국가 간의 지역 협력체인 비셰그라드 그룹을 결성했다. 2000년 시로 승격되었다.

3. 주요 유적

비셰그라드 성은 11세기에 건설되었다. 14세기 카로이 1세비셰그라드로 천도하여 왕궁으로 삼았다. 부다페스트로 천도한 후에도 성하 마을로서 존속했으며, 15세기 마차슈 1세 치세에 정비 및 확장되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군의 침공 등으로 파괴되었지만 재건되어, 현재 시브리크 언덕에 남아 있다.

3. 1. 비셰그라드 성 (상부 성채)

비셰그라드 성


마티아스 왕 시대의 성


가스파르 부타츠가 그린 1686년의 비셰그라드


헨릭 베버가 그린 비셰그라드의 솔로몬 탑에 있는 솔로몬 왕


몽골 침략 이후, 벨러 4세 국왕과 그의 왕비는 1240년대와 1250년대에 이전에 파괴된 요새 근처에 새로운 방어 시스템을 건설했다. 새로운 시스템의 첫 번째 부분은 높은 언덕 위에 있는 상부 성이었다. 이 성은 삼각형 평면도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세 개의 탑이 모서리에 위치해 있었다. 14세기, 앙주 왕가 시대에 이 성은 왕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새로운 성벽과 궁전 건물이 증축되었다.

1400년경 지기스문트 국왕은 세 번째 성벽을 건설하고 궁전 건물을 확장했다. 15세기 말에는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국왕이 내부를 개조했다. 상부 성은 14세기부터 1526년까지 헝가리 왕실의 상징(왕실 인장)을 보관하는 곳으로도 사용되었다. 1544년 비셰그라드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1595년부터 1605년까지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1685년까지 튀르크의 손에 남았다. 이 성은 튀르크에 의해 심각하게 파손되었고, 그 후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현재 이 성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3. 2. 하부 성채

하부 성채는 상부 성채와 다뉴브 강을 연결하는 요새 시스템의 일부이다. 중앙에는 13세기에 지어진 크고 육각형의 주거용 탑인 솔로몬 탑(Solomon Tower)이 있다. 14세기에 탑 주변으로 새로운 성벽이 건설되었다. 1544년 터키군의 습격으로 탑의 남쪽 부분이 무너졌다. 탑의 개수는 1870년대에 시작되어 1960년대에 완료되었다.

현재 이 탑에는 비셰그라드 마티아스 왕 박물관(Mátyás Király Múzeum)이 설치한 전시가 있다. 전시는 왕궁의 복원된 고딕 양식 분수, 비셰그라드의 르네상스 조각, 그리고 비셰그라드의 역사를 보여준다.

3. 3. 왕궁

이 부지에 최초의 왕궁은 1325년 이후 헝가리의 칼 1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14세기 후반에는 그의 아들인 헝가리의 루이 1세에 의해 궁전으로 확장되었다.[4]

14세기 후반, 러요시 1세와 그의 계승자인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는 이전 건물 대부분을 철거하고 새로운 호화로운 궁전 단지를 조성했으며, 그 광대한 폐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볼 수 있다. 궁전 단지는 123m x 123m의 정사각형 평면으로 설계되었다. 북쪽에는 정원이, 남쪽에는 지기스문트 왕이 1424년에 세운 프란체스코 수도원이 인접해 있었다. 러요시 1세와 지기스문트 시대에 이 궁전은 약 1405년~1408년까지 헝가리 왕들의 공식 거주지였다.

1477년부터 1484년 사이에 마티아스 코르비누스는 후기 고딕 양식으로 궁전 단지를 재건축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 양식은 장식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이탈리아를 제외한 유럽에서 이 양식이 처음 등장한 사례이다. 1544년 오스만 튀르크의 포위 공격 이후 궁전은 폐허가 되었다. 18세기까지는 완전히 흙으로 뒤덮였다. 발굴 작업은 1934년에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재건된 왕궁 건물은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궁전의 역사와 재현된 역사적 내부를 보여주는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3. 4. 시브리크 언덕



비셰그라드 북쪽, 다뉴브 강을 내려다보는 언덕(시브리크 언덕)에서 이 군사 기지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이 기지는 삼각형 평면도를 가지고 있으며, 로마 제국의 국경인 리메스를 따라 중요한 요새 중 하나로 4세기 전반기에 건설되었다. 지휘관 건물인 프라이토리움은 4세기 말에 건설되었다. 5세기 초 로마 군대는 이 군사 기지를 버렸다.

10세기와 11세기에 이 요새는 성으로 재건되었고, 새로 형성된 헝가리 국가의 지역 중심지가 되었다. "비셰그라드"라는 이름은 1009년에 이 지역 중심지의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 요새는 1242년 몽골의 유럽 침공으로 파괴되었다.

이후 14세기, 카로이 1세가 비셰그라드 성을 왕궁으로 삼으면서 부다페스트로 천도하기 전까지 왕궁으로 사용되었다. 15세기 마차슈 1세 치세에 정비 및 확장되었으나, 16세기 오스만 제국군의 침공 등으로 파괴되었다. 하지만 재건되어 현재까지 시브리크 언덕에 비셰그라드 성이 남아 있다.

4.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Visegrád http://www.ksh.hu/ap[...]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2022-01-01
[2] 서적 Magyarország Panoráma
[3] 서적 Das Königreich Ungarn: ein topographisch-historisch-statistisches Rundgemälde, das Ganze dieses Landes in mehr denn 12,400 Artikeln umfassend https://books.google[...] Gedruckt auf Kosten der v. Thiele'schen Erben 2022-11-07
[4] 백과사전 Louis I. of Hungary
[5] 웹사이트 Testvérvárosok https://www.visegrad[...] Visegrád 2021-03-31
[6] 문서 도나우강에 다리가 놓인 국경 마을, 에스테르곰까지는 약 25km 거리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